top of page
자연 여백 Natural Emptiness

Season Lao

2025. 8. 2 - 8. 30

갤러리 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 시간이 멈춘 듯한 고요함과 깊게 가라앉은 어둠, 그리고 선선한 공기가 관람자를 맞는다. 입구 공간의 고요함을 방해하지 않는 희미한 빛 한 줄기는 중앙에 놓여진 나무 그루터기로 시선을 이끌고, 이어서 가장 안 쪽 벽에 은은하게 비춰지고 있는 작품 한 점으로 자연스레 시선을 집중시킨다. 벽과 천장을 이루는 시멘트와 돌의 날것 그대로의 질감과 오묘한 색감은 이질감이 느껴지기보다, 오히려 첫 번째로 마주하는 작품 Mt. Asama, Nagano, Japan, 2024 와 스며들듯 조화를 이룬다. 마치 동굴과도 같은 이 공간이 조성하는 분위기는 무게감이 있으면서도 차분하다. 그루터기에 홀로 앉아, 혹은 먼 발치에서 작품과 오롯이 대면하는 순간, 관람자는 익숙한 감각의 틀에서 벗어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일상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내면의 고요와 마주하게 되는 이 첫 번째 공간은 시즌 라오 작가가 창조하는 ‘비움의 공간’으로의 입문이다. 이번 전시를 관통하는 주제인 ‘비움과 여백에서 오는 평온한 사유의 시간’을 전시의 시작에서부터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장자의 "허실・생백(虛室・生白)" 사상은 시즌 라오의 작업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 중 하나이다. "텅 빈 방에 빛이 스며들면 자연스럽게 밝아진다"는 장자의 격언은, 마음의 모든 선입견과 잡념을 비워야 진리가 저절로 드러난다는 의미이다. 그의 대표작 KYOSHITSU SHOHAKU – An Empty Room Turns White for Enlightenment 에서 안개가 공간을 가득 채우면 기존의 모든 시각적 정보가 사라지고 '빈 공간'이 창조되는데, 바로 이 순간 관람자들은 평소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순수한 경험과 지각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물리적인 '비움'을 통해 정신적인 '채움'을 체감하게 하는 이 작업을 통해 작가는 장자의 철학을 승화시켜 현대미술의 공간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해낸다. 이 설치 작업은 전시 오프닝 당일 입구 공간과 메인 전시장 우측 코너에서 각각 라이브로 선보이며, 관람객들은 안개가 피어 올라 공간을 채우는 동안 나무 그루터기에 앉아 벽에 전시된 작품을 감상하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시즌 라오의 작업이 지닌 전체적인 색감 톤과 중정갤러리 자체의 전시 공간 톤이 만들어내는 조화는 갤러리 전체에 흐르는 차분하면서도 힘 있는 공기를 조성해, 명상과 사유를 보다 자연스럽게 촉진한다. 작품들은 충분한 여백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많은 것을 보여주려 하기보다는 각 작품이 지닌 고유의 분위기와 기운에 집중하고 이를 각각 감상할 때의 사유의 공간을 존중하는 방식이다. 또한, 더욱 인상적인 것은 대부분의 작품들이 액자 없이 종이 그대로를 작은 자석으로만 고정하여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는 점이다. 작가가 사진 작업에 사용하는 일본 전통지 Kozo Paper는 한지와 비슷한 질감을 보이는데, 종이의 색감과 작품 테두리 및 표면의 날 것 그대로의 질감이 더해져 동양 수묵화와 같은 느낌도 준다. 액자에 틀에 갇혀 하나의 사진 작업으로 다가오기보다, 전시장 바닥과 기둥의 질감과 색감, 그리고 곳곳에서 스며들어오는 자연광과 어우러져 작가가 당시 바라봤을 자연 풍경을 같은 위치에서 다시 보고 있는 듯한 경험을 선사한다. 긴 사진 작업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스크롤처럼 풀어 전시한 Scroll 202508 앞에 놓여진 나무 그루터기에 앉아 작품을 감상하고 있으면, 마치 산 정상 어느 조용한 자리에서 펼쳐진 구름과 안개 낀 풍경을 묵묵히 응시하고 있는 듯한 고요함과 평온함이 찾아온다.

큰 통창이 나 있는 전시장 좌측 코너의 공간에는 이번 전시를 위해 작가가 특별히 선보이는 Mt. Bukhansan, Seoul, South Korea, 2025 이 전시되어 눈길을 끈다. 창 너머로 보이는 실제 북한산의 풍경과 작가가 올해 겨울 북한산을 찾아 그만의 시선으로 포착한 장면을 담은 사진 작업을 나란히 감상할 수 있다. 부드러운 능선이 운무와 어우러지며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작품 앞에 서면, 눈안개가 차분히 내려앉은 당시의 북한산 경치를 상상해보게 된다. 현재 한여름의 초록이 무성한 실제 북한산의 광경과 대비되는 모습 또한 흥미롭다. 이를 통해 현실과 예술, 자연과 재현이 만나 한눈에 조망되는 특별한 순간을 연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사진 예술이 단순히 현실이나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과 의미를 부여하는 매개임을 보여준다. 같은 대상이지만 다른 시간, 다른 계절, 다른 감정으로 포착된 북한산은 관람자에게 시간과 공간에 대한 깊은 사유를 제공한다. 그리고 창문 반대편 벽에 전시된 The Alps, Switzerland and Italy, 2024 는 어디까지가 산이고 어디부터가 안개인지 경계가 모호한 북한산의 부드럽고 여유로운 곡선미와 대조되는 날카롭고 역동적인 알프스 산맥의 봉우리들을 선보여, 동서양의 서로 다른 자연 미학을 비슷한 질감과 색감의 종이 위에서 동시에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자연 여백(Natural Emptiness)》 전시를 구성하는 작품들은 각각 서로 다른 밀도의 고요함을 간직하고 있다. 어떤 작품 앞에서는 깊은 평안을, 다른 작품 앞에서는 왠지 모를 미묘한 긴장감을 느끼게 된다. 극도로 선명하게 인화된 사진도 아니고, 구름, 안개, 눈 등의 자연 현상에 가려 많은 디테일을 보여주지도 않지만, 관람자는 그 당시 찬 공기의 습도를 피부로 느끼고, 정적 속에서 안개가 가라앉는 소리와 구름이 이동하는 소리를 상상해보게 된다. 이처럼 시즌 라오가 표현하는 자연의 여백과 ‘비움’은 무조건 지워내고 덜어냄으로써 발생하는 단순한 공허 혹은 정적이 아니라, 보다 많은 의미와 깊이감을 내포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완결된 의미를 강요하거나 주장하기보다, 관람자 개개인이 각자의 서로 다른 내면의 풍경과 만나 고유한 ‘사유의 시간’을 경험하도록 이끈다.

전시 기획/서문 | 최재우


Upon entering the gallery, visitors are enveloped by a profound stillness, as if time itself has paused. Subtle darkness and cool air create an atmosphere of contemplative quiet. A dainty beam of light, which does not disturb the entrance's serenity, guides the eye toward a single wooden stump positioned at the center, then naturally draws attention to a single work softly illuminated on the far wall. The raw textures and nuanced tones of the concrete and stone surfaces that form the walls and ceiling do not create discord; instead, they achieve seamless harmony with the first encountered work, Mt. Asama, Nagano, Japan, 2024. This cave-like space cultivates an atmosphere both substantial and tranquil. Whether seated alone on the stump or viewing from a distance, visitors find themselves departing from familiar sensory patterns. This inaugural space, where one escapes quotidian turbulence to encounter inner stillness, serves as an initiation into the "space of emptiness" that Season Lao creates. From the exhibition's very opening, one experiences the pervading theme: "peaceful contemplative moments arising from emptiness and blank space."
Zhuangzi's philosophy of “虛室生白” provides crucial insight and serves as one of the keys to understanding Season Lao's artistic philosophy. Zhuangzi's maxim that "when light permeates an empty room, it naturally becomes bright" means that truth reveals itself naturally only when the mind is emptied of all preconceptions and distracting thoughts. In Lao’s seminal work KYOSHITSU SHOHAKU – An Empty Room Turns White for Enlightenment, when fog slowly fills and saturates the space, all existing visual information is dissolved to create pure "emptiness." In this precise moment, viewers transcend conventional perceptual frameworks to achieve states of unmediated experience and awareness. Through this work that transforms physical "emptiness" into spiritual "fullness," the artist elevates Zhuangzi's philosophy, manifesting it anew within contemporary art practice. This installation will be performed live during the opening reception in both the entrance space and the main gallery's right corner, offering visitors the singular experience of contemplating the works on the walls while seated on wooden stumps as fog rises to fill the space.
The harmony created between the overall color tone of Season Lao's works and the exhibition space tone of Jungjeong Gallery itself generates a calm yet powerful atmosphere throughout the gallery, naturally promoting meditation and contemplation. Works are installed with generous intervals between them. Rather than overwhelming viewers with visual abundance, this curatorial approach honors each work's distinct aura and energy, respecting the contemplative space necessary for individual engagement. Particularly striking is the presentation of most works without frames—the paper itself secured only by small magnets. The Japanese traditional Kozo paper employed in the artist's photographic practice possesses a texture reminiscent of Korean Hanji, and its natural coloration combined with the raw texture of the edges and surface create an aesthetic kinship with East Asian ink paintings. Rather than approaching viewers as conventional framed photographs, these works blend with the colors and texture of the gallery's floor and columns, enhanced by ambient natural light, offering the sensation of witnessing the natural landscapes from the artist's original vantage point. Seated on the wooden stumps before Scroll 202508—where uncut lengthy photographic work is unrolled like a scroll—visitors experience the same tranquility and peace of silently observing cloud-veiled and misty landscapes spread out from a quiet spot atop a mountain.
In the left corner space of the exhibition hall, featuring expansive windows, Mt. Bukhansan, Seoul, South Korea, 2025, specially presented by the artist for this exhibition, draws attention. Viewers can simultaneously experience the actual Bukhansan landscape visible through the window alongside the artist's photographic interpretation, captured through his distinctive vision during winter visits to the mountain. Standing before this work, where gentle ridgelines merge with atmospheric mist and clouds to create lyrical resonance, one envisions Bukhansan as it appeared when snow fog settled across its slopes. The juxtaposition with the current midsummer view of lush and verdant Bukhansan creates compelling dialogue. This installation orchestrates a singular convergence where reality and artistic representation, nature and interpretation, become simultaneously visible. Such presentation demonstrates that photographic art transcends mere documentation, functioning as a medium that imparts fresh perspectives and layered meanings. Though depicting the identical Bukhansan captured across different temporalities, seasons, and emotional registers offers viewers profound cogitation on time and spatial experience. On the opposing wall, The Alps, Switzerland and Italy, 2024 presents the sharp, dramatic peaks of the Alpine range, contrasting with Bukhansan's gentle, flowing contours where mountain and mist merge ambiguously. This juxtaposition enables simultaneous experience of Eastern and Western natural aesthetics rendered on papers of similar texture and tonality.
The works comprising 《Natural Emptiness》 each embody distinct densities of stillness. Certain pieces evoke profound serenity, while others generate subtle, inexplicable tension. Though neither rendered with extreme photographic precision nor revealing extensive detail beneath natural phenomena of cloud, fog, and snow, these works enable viewers to sense the humidity of cold air against their skin and imagine the sounds of settling mist and moving clouds within the silence. The natural emptiness that Season Lao articulates transcends simple hollow absence created through mere erasure and reduction; it encompasses deeper meaning and dimensional complexity. Rather than imposing or asserting predetermined interpretations, his works guide each viewer toward encounters with their individual inner landscapes, facilitating unique "contemplative experiences."

Exhibition Curated | Text Written by Ryan Choi

  • Instagram
  • Blogger

Copyright © Joong Jung Gallery all rights reserved

info@joongjunggallery.com     T  +82 2 549 0207 
03011, 7-12, PYEONGCHANG 10-GIL, JONGNO-GU, SEOUL, REPUBLIC OF KOREA

bottom of page